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은한국의 건설산업 기술자들에게 주어지는 기술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이 자격증은 건출물의 전기설비 설계, 시공, 관리 등과 관련하여 기술적인 역량을 가진 전문가로서의 자격을 인정해줍니다.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시험 일정.

회차 필기

원서접수

필기시험 필기 합격자 발표 응시자격 서류제출/필기 합격자 결정 면접시험 원서접수 면접시험 합격자 발표
제129회 1.3~1.6 2.4 3.15 2.6~3.24 2.20~2.23 4.15~4.26 5.19
제130회 4.10~4.13 5.20 6.28 5.22~7.7 7.3~7.7 8.5~8.16 9.8
제131회 7.24~7.27 8.26 10.11 8.28~10.20 9.5~9.8 11.11~11.21 12.15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응시 자격.

 


 

기술자격 소지자인 경우

  • 동일(유사)분야 기술사
  • 기사 + 실무 경력 4년
  • 산업기사 + 실무경력 5년
  • 기능사 + 실무경력 7년
  • 동일종목의 외국자격 취득자

 

관련학과 졸업자인 경우

  • 대졸 + 실무경력 6년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7년
  • 2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8년
  • 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6년
  •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실무경력 8년

 

  1.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직무분야(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유사 직무분야를 포함한다. 이하”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라 한다)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4. 응시하려는 종목과 관련된 학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학과(이하”관련학과”라 한다)의 대학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부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5.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술사 등급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6.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8.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세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9.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산업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세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0.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1.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필기시험 과목.

전기공학 기초 이론

전기회로, 전기기기, 전기자기학 등

 

건축전기설비 기본 지식

건축물의 전기설비 기본 개념

구성, 서례, 시공, 유지보수

 

전기안전 및 기술 규정

전기 시설의 안전한 설치와 운영을

위한 규정과 절차

 

전기계통 및 배전 설비

발전소, 변전소, 전력 계통 및

배전 설비 등에 대한 이해

 

조명 및 콘센트 설비

건물 내 조명 시스템과

콘센트 설비의 설계와 구성

 

보안 및 소방 시스템

건물 내 보안 시스템

소방 시스템 설과와 운영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

건축물의 자동화

제어 시스템 구성과 운영

 

에너지 관리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

에너지 관리에 대한 이해

 

노후 시설 유지보수

오래된 건축물의

전기설비 유지보수 및 개선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면접 대비 효과적인 방법

1. 필기시험 내용 복습

면접은 필기시험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필기시험에서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고 전기공학기초 이론부터 건축전기설비 기본 지식까지 간단한 메모를 작성하여 자신의 이해도를 확인하세요.

 

2. 실무 경험 준비

면접에서 자신의 경력과 실무 경험을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로젝트에서 맡았던 역할, 어려웠던 상황에서의 해결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기억하고 예시로 준비해두세요.

 

3. 기술과 지식 관련 질문에 대한 대비

전기설비 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에 관련된 기술과 지식에 대해 물어볼 수 있으므로,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세요. 기본 개념부터심화 내용까지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4. 문제 해결 능력 강화

건축전기설비 기술사는 현장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면접에서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문제를 해결했는지 등을 예시로 들어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5. 안전 관리에 대비

전기설비 시공 및 유지보수에서의 안전 관리에 대해 논의될 수 있으므로, 관련 규정과 절차를 잘 이해하고 안전한 작업 방식을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6. 자기소개 및 의사 소통 능력 강화

면접에서 자기소개와 자신의 강점을 어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한 면접 과정에서 원활한 의사토통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연습해보세요.

 

7. 면접 연습

가족이나 친구와 면접 연습을 해보세요. 자신의 대답을 피드백받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면접 연습을 통해 자신감을 갖추고 긴장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8. 자신의 강점과 역량을 강조

면접에서 자신의 강점과 역량을 강조하는 것이 종요합니다. 자신이 어떤 분야에서 뛰어난지를 잘 보여줄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9. 면접 전 최종 확인

면접 장소와 시간을 정확히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나 준비물을 미리 준비해두세요.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시험 난이도.

전문 분야의 지식 요구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시험은 전기광학과 건축전기설비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이해를 평가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평상시 업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학습에 더 큰 노력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주제 영역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시험은 전기설비 설계, 시공, 유지보수, 안전관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폭넓은 지식과 기술을 요구합니다.

 

실무 경험의 중요성

필기시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실무 경험이 있는 응시자들이면서도 준비가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면접(실기시험)이 추가로 진행되어 더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증명해야 합니다.

 

시간 제한과 높은 합격기준

시험 시간이 제한적이며, 합격 기준이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시험에서 특정 점수 이상을 얻어야만 합격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점수를 획득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취득 후 취업분야.

 

전기설비 설계자 및 기술자

건축물의 전기설비 설계와 관련된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설계자나 기술자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전기공사 업체

전기공사업체에서 건축물의 전기설비 시공 및 유지보수 업무를 담당하는 기술자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건축 현장 관리자

건축 현장에서 전기설비의 시공과 안전 관리를 담당하는 현장 관리자로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시설 운영 및 유지보수 기술자

건물 운영 및 유지보수 관련 회사에ㅣ서 건축물의 전기설비 유비보수 업무를 담당하는 기술자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및 기타 관련 기관

공공기관이나 기타 건축 관련 기관에서 건축전기설비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기술자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1,372 28 2% 51 24 47.1%
2021 1,326 29 2.2% 59 31 52.5%
2020 1,189 33 2.8% 63 31 49.2%
2019 1,190 31 2.6% 65 34 52.3%
2018 1,196 33 2.8% 72 32 44.4%
2017 1,197 41 3.4% 70 35 50%
2016 1,192 18 1.5% 38 25 65.8%
2015 1,210 26 2.1% 37 17 45.9%

 

 

댓글 남기기